
대구권 광역철도 '구미~대구~경산' 구간과 동해선 철도 '포항~삼척' 건설 구간을 내년 연말까지 개통한다. 대구경북이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바뀌고, 포항에서 삼척까지 55분이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국가철도공단은 올해 영남권 9개 철도 건설 사업에 6천106억원을 투입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가운데 61%에 이르는 3천725억원을 상반기 중 조기 집행한다.
영남권 일반철도 사업은 동해선 포항∼삼척 철도건설사업(1천866억원)과 포항∼동해 전철화 사업(2천563억원) 등 2개 사업으로, 올해 4천429억원을 투입한다.
내년 4월부터 시설물 검증시험, 영업 시험운전을 거쳐 내년 말 동시 개통할 계획이다.
동해선 포항∼삼척(166.3㎞) 단선철도 건설사업 가운데 1단계인 포항∼영덕 구간은 지난 2018년 1월 개통했다.
내년 개통 예정인 2단계 영덕∼삼척 구간은 공정률 90%를 목표로, 동해선 포항∼동해(172.8㎞) 전철화 사업은 공정률 95%를 목표로 각각 공사한다.
동해선 전 구간이 개통되면 포항에서 삼척까지 55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기존 버스보다 2시간 15분 이른 것이다.
이는 동해안권 여객·화물 수송 주요 철도망 역할을 하고 지역 개발을 촉진하며 장래 남북철도 및 대륙철도 연계에 대비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 구미∼대구∼경북 경산(61.9㎞)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도 내년 하반기 중 개통 목표다. 총사업비 2천25억원 규모 사업으로, 올해는 공정률 93%를 목표로 사업비 889억원을 들인다.
사곡역 신축, 전 역사 승강장 안전문 설치 등에 중점을 둔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기존 경부선 선로 여유 용량을 활용한 저비용·고효율 사업으로, 개통 후에는 대구와 경북권을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연결해 도시 간 연계성을 높이고 교통 불편도 해소할 전망이다.
대구권 광역철도 신설 역사인 서대구역은 지난해 3월 우선 개통해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확대하고 대구권 서남부지역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킨 바 있다. 경북 칠곡군 수탁사업인 신설 북삼역도 오는 2025년 12월 준공 목표로 지난 2월 공사발주했다.
앞서 개통한 동해남부선 등 5개 사업도 연내 최종 준공을 목표로 전동열차 운행 노선에 스크린도어 설치, 기존선 구조물 철거 등 막바지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에는 ▷중앙선 영천~신경주 복선전철 건설사업(2021년 12월, 이하 개통 시기)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2021년 8월) ▷울산∼포항 복선전철(2021년 12월) ▷부산∼울산 복선전철(2021년 12월) ▷울산신항 인입 철도(2020년 9월) 등이 포함된다.
김공수 국가철도공단 영남본부장은 "제때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해 거점 간 이동시간을 단축하는 등 철도서비스를 확대하겠다"며 "교통, 물류, 관광 등 영남권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여옥, 대장암 4기 투병 고백…"암 걸렸다니 좋아하는 좌파들"
김호중 팬카페 대구경북아리스, 서구청에 1천만원 상당 후원품 전달
엄마 잃게 만든 만취운전 그놈, '세종청사 공무원' 징역 8년 구형
태영건설, 사과·오미자 주산지 문경 산북면에 의료폐기물소각장 추진…주민 반발
尹 면직 재가 직후 한상혁 "하늘에 한점 부끄럼 없어" 법적다툼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