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밥상물가, OECD 회원국 중 세번째로 많이 올랐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전년 대비 5.9% 증가
전체 소비자물가 증가율은 2.5%로 OECD 중 19위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이 21일 설명절 물가점검을 위해 용산 하나로마트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이 21일 설명절 물가점검을 위해 용산 하나로마트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한국의 연간 물가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9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밥상 물가'로 꼽히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세 번째로 높아 체감 물가는 더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OECD에 따르면 35개 OECD 회원국의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평균 3.4%로 집계됐다. 2019년 기준 38개 OECD 회원국의 물가 상승률이 평균 2.1%, 2020년엔 1.4%에 불과했던 데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이다. 지난해 세계적인 원자재 수요 증가와 공급망 병목현상이 글로벌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의 작년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5% 오르며 OECD 평균보다는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이웃국가인 일본(-0.3%)보다는 높았다. 한국보다 지난해 물가가 더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된 국가는 미국(4.7%) 등 18개국이다.

35개 OECD 회원국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터키(19.6%)로, 유일하게 10%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터키를 제외한 34개 OECD 회원국의 평균 물가상승률은 2.9%로 조사됐다.

문제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품목만 따진 밥상물가 상승률이 35개 OECD 회원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았다는 점이다. 한국의 지난해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5.9%로, OECD 35개 회원국 평균인 2.2%와 비교해 세 배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밥상물가 역시 터키(24.3%)를 제외한 34개국의 평균 상승률은 1.6%로 더 낮게 조사됐다.

지난해 한국의 연간 물가 상승률(2.5%)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9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만 따진 밥상물가 상승률(5.9%)은 세 번째로 높았다.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아직 관련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호주, 콜롬비아, 뉴질랜드 등 3개국을 제외한 35개국과 비교·분석한 결과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