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연간 물가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9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밥상 물가'로 꼽히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세 번째로 높아 체감 물가는 더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OECD에 따르면 35개 OECD 회원국의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평균 3.4%로 집계됐다. 2019년 기준 38개 OECD 회원국의 물가 상승률이 평균 2.1%, 2020년엔 1.4%에 불과했던 데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이다. 지난해 세계적인 원자재 수요 증가와 공급망 병목현상이 글로벌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의 작년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5% 오르며 OECD 평균보다는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이웃국가인 일본(-0.3%)보다는 높았다. 한국보다 지난해 물가가 더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된 국가는 미국(4.7%) 등 18개국이다.
35개 OECD 회원국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터키(19.6%)로, 유일하게 10%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터키를 제외한 34개 OECD 회원국의 평균 물가상승률은 2.9%로 조사됐다.
문제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품목만 따진 밥상물가 상승률이 35개 OECD 회원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았다는 점이다. 한국의 지난해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5.9%로, OECD 35개 회원국 평균인 2.2%와 비교해 세 배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밥상물가 역시 터키(24.3%)를 제외한 34개국의 평균 상승률은 1.6%로 더 낮게 조사됐다.
지난해 한국의 연간 물가 상승률(2.5%)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9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만 따진 밥상물가 상승률(5.9%)은 세 번째로 높았다.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아직 관련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호주, 콜롬비아, 뉴질랜드 등 3개국을 제외한 35개국과 비교·분석한 결과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이슬람에 대한 편견·오해 없어야…종교갈등 우려"
전여옥, 대장암 4기 투병 고백…"암 걸렸다니 좋아하는 좌파들"
태영건설, 사과·오미자 주산지 문경 산북면에 의료폐기물소각장 추진…주민 반발
윤상현 의원, "어버이날도 공휴일로…기독탄신일→성탄절 변경"
[매일희평] 상공에서 비상구 열고 도피성 사표 제출 후 탈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