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임기가 만료된 조해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의 사표를 문재인 대통령이 반려해 조 위원이 상임위원에서는 물러나지만 선관위원을 계속 맡는다고 한다. 상임위원이 임기 만료 후에 선관위원으로 계속 근무하는 것은 현행 상임위원 제도가 확정된 1999년 이래 전례가 없다.
조 상임위원은 애초 선관위원이 되어서는 안 될 인물이다. 제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캠프 활동 논란에 싸인 사람이 선거관리를 맡는다는 것은 특정 스포츠팀 소속 코치가 경기 심판을 맡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 때문에 2019년 1월 임명 당시 야당이 인사청문회를 보이콧했지만 문 대통령은 청문회 없이 임명을 강행했다.
선관위 상임위원은 9명의 중앙선관위원 중 유일한 상근직으로 선관위의 선거관리와 인사를 감독하는 선관위 2인자다. 바로 그 선관위가 2020년 4월 총선 때 '적폐청산' 문구가 포함된 친여 단체의 현수막은 허용하고 '민생파탄'이라는 야당 지지자들의 문구는 불허했다. 지난해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때는 '보궐선거 왜 하죠?'라는 시민단체 캠페인을 막았다. "유권자가 선거 실시 사유를 잘 알고 있다는 점 등을 토대로 현수막이 선거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이유였다. 성 추문 사건이 보궐선거의 원인임을 알리는 것은 선거법 위반이라는 것이다. 이후 시민단체가 '우리는 성평등에 투표한다'는 문구를 내놓았지만 이마저 불허했다. '내로남불'은 특정 정당을 연상시킨다며 못 쓰게 하고, '오세훈은 자격 없다'는 피켓은 문제없다고 했다.
2020년 4·15 총선에서 부정선거 논란이 일어났고, 120여 건의 선거무효소송이 제기됐다. 이 소(訴)들은 공직선거법에 따라 2020년 11월 안에 재검표 등이 완료돼야 했지만, 지금까지도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이런 모든 논란과 불공정 사태에는 중앙선관위와 조해주 상임위원의 책임이 있다. 그런데 문 대통령은 그의 사표를 반려했다. 40여 일 남은 대통령 선거와 6·1 지방선거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까?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전여옥, 대장암 4기 투병 고백…"암 걸렸다니 좋아하는 좌파들"
태영건설, 사과·오미자 주산지 문경 산북면에 의료폐기물소각장 추진…주민 반발
尹 면직 재가 직후 한상혁 "하늘에 한점 부끄럼 없어" 법적다툼 예고
김명수의 Pick은 누구? "윤준·서경환·손봉기·엄상필·권영준·박순영·신숙희·정계선"
산격동 옛 도청터 개발 청신호…'도심융합특구법' 국토위 소위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