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코로나 이후 사회복지 현장에 변화가 필요하다

김하수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장

김하수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장
김하수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장

2020년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의 확산은 지금까지 겪지 못했던 사회현상을 경험하게 하였다. 너무나 일상적인 생활들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제는 수많은 위기 상황을 겪고 극복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사회복지 현장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되짚어 보아야 할 시점이다. 기존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방식과 전달체계에도 새로운 대응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사회복지시설별(이용자의 특성) 감염병 예방을 위한 대응 매뉴얼이 만들어져야 한다. 특히 거주시설을 이용하는 사회복지 대상자의 경우 고령이거나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장애인의 경우는 면역력이 취약한 사람들이 많다. 아울러 함께 생활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의 감염병 예방을 위한 세부적인 매뉴얼도 마련되어야 한다.

매뉴얼은 코로나19를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복지 종사자와 복지 전문가, 보건 및 의료 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해서 시행 가능하고, 거주시설과 이용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재가복지서비스가 확산되어야 한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거주시설에서 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집단감염으로 이어지고 사망자가 증가하였다. 이는 그동안 시설 중심 사회복지서비스의 취약성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요양시설을 선호했던 이용자와 그 가족들도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에 취약한 요양시설의 단점도 알게 되었다. 이제는 지역사회 내의 복지 제공 기관과 단체를 중심으로 하는 재가서비스의 확대와 지원체계가 확산되어야 한다.

셋째, 개별 또는 소규모(집단)의 복지서비스 제공과 전달체계의 전문화가 요구되고 있다. 코로나19로 대구와 경북의 대부분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 경로당, 무료급식소 등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과 기관들이 휴관하였다. 이들 기관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던 많은 사회복지 대상자들과 지역 주민들은 복지서비스 사각지대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그동안 집단적으로 제공하던 사회복지서비스를 개별 또는 소규모(집단)의 사회복지서비스로, 제공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 대상자와 주민들이 겪는 심리적인 고충을 상담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인력과 전달체계가 전문화되고 보강되어야 한다.

넷째, 민간과 공공의 거버넌스가 제도화되어야 한다. 코로나19로 많은 후원물품이 접수되었지만, 정작 필요한 곳에 나누어 지원할 수 있는 체계는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시·군·구별로 행정과 민간의 복지시설과 기관 및 단체 등이 참여하는 거버넌스가 준비되어야 한다. 기존의 사회복지 대상자는 물론 고용보험 사각지대의 노동자들이 생활고를 겪고 있다. 이들을 신속하게 발굴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공과 민간의 협력체계가 제도화되어야 한다.

코로나19는 그동안의 사회관계망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감염병 확산에 대비한 새로운 교환과 소통의 사회관계 방법을 찾고 적응하고 있다. 사회복지 현장에서도 감염병 확산에 대응하는 매뉴얼 개발과 서비스 방식 변화 그리고 협력체계 제도화 등 전달체계에 대한 변화와 대응 방안이 새롭게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전문가 및 사회복지사들의 경험과 지혜를 모야야 할 때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