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나보고 어떻게 가수가 미술을 하느냐고 한다. 재능 있는 유전자를 받았을 뿐인데…."
가수이자 화가인 조영남 씨가 28일 대구백화점 프라자점 프라임홀에서 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 회원들과 토크 콘서트를 진행했다.
본인의 노래 '제비'로 토크 콘서트 문을 연 조 씨는 게스트로 콘서트장을 함께 찾은 이화숙 명지대 교수, 임영인 소프라노, 임철호 테너를 소개하며 이들의 멋진 공연을 관객들에게 선사했다.
'현대미술은 무엇인가'라는 내용으로 강의를 시작한 조 씨는 "사진 기술이 나온 후의 미술이 현대미술이다. 사진 기술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그림을 아주 잘 그리는 것이 중요했지만 사진술이 발달하자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다"며 "화가가 스스로 생각해서 자유롭게 그리는 것이 바로 현대미술"이라고 정리했다.
이어 규칙과 자유가 음악과 미술을 가르는 큰 차이점이라고 덧붙였다. 그가 말하는 음악은 박자 등 어떠한 규칙에 따라 연주하고 작곡해야 한다면, 미술은 규칙 없이 화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예술이라는 것이다. 조 씨는 '자유로움'이 좋아서 미술에 매료됐다고 설명했다.
토크 콘서트에서 조 씨는 노래 공연과 미술 강연을 섞어 진행하며 관객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했다. 데뷔곡 '딜라일라'를 임철호 테너와 함께 열창하며 큰 박수와 호응을 이끌었고, 서울 중구 무교동 음악클럽 쎄시봉에서의 일화도 함께 전했다.
'왜 화투 그림을 그리게 됐느냐'는 관객의 질문에 그는 미국 유학 시절, 이민자들이 화투를 치는 모습이 계기가 됐다고 답했다.
조 씨는 "본격적으로 미국에 가서 미술 공부를 했는데 각종 미술관을 가보니 내가 그릴 만한 그림들은 다 그려놓은 것 같았다. 앤디 워홀의 그림을 보고 나도 내 그림의 어떤 특징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집에 돌아오니 이민자들이 화투를 치고 있었다. 화투를 그리면 사람들이 방긋 웃으면서 내 그림을 볼 수 있겠다 싶었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스스로 깨달은 인생의 진리가 있는데 그것은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는 것'"이라며 노래 '모란동백'을 열창했다. 조 씨는 추후 본인의 장례식장에서 흘러나올 노래가 '모란동백'이었으면 좋겠다며 재치 있는 농담으로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그는 "세상 진리는 딱 한 가지다.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가수는 무대에서 죽는 게 꿈이다. 내가 이 자리에서 죽었다 치고 조가(弔歌)를 부르겠다"며 "우리 다 같이 노래하자"고 외쳤다.
댓글 많은 뉴스
황운하, 김기현 향해 "尹에 꼬리치는 푸들…얍삽한 처신"
박지원 "DJ라면 이 대표 중심으로 뭉쳐 싸워라 말할 것"
김건희 "나 아니면 누가 윤 대통령 구제했겠나"…연애담 웃음
이재명 "천화동인 1호? 존재도 몰랐다…배임죄? 부산엘씨티·제주 오등봉은?"
"대구·광주 공항특별법 각각 추진"…주호영 "내달 국회 동시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