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시장이 연간 음반 판매량 5천만장을 넘기며 유례없는 대호황을 맞았지만 하이브(빅히트뮤직 한정)·SM·YG·JYP 등 이른바 '빅4' 대형 기획사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가온차트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음반 판매량(상위 400개 기준)은 5천708만9천160장을 기록해 5년 전(1천80만8천921장)보다 428% 늘어 5.28배로 급증했다.
빅4 기획사의 판매량 비중은 58.8%에서 60.9%로 2.1%포인트 증가했다. K팝 음반 시장이 5배 이상 확대된 가운데 대형 4개 기획사의 비중이 더욱 커진 것이다.
지난해 판매량을 기획사별로 살펴보면 NCT 127·NCT 드림·NCT가 큰 인기를 누린 SM이 1천683만1천219장(29.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방탄소년단과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활약한 하이브가 945만2천317장(16.6%)을 기록했다.

지난해 그룹 스트레이키즈로 창사 이래 첫 밀리언셀러를 배출한 JYP는 583만8천140장(10.2%), 블랙핑크 리사 솔로 음반으로 성공을 거둔 YG는 261만3천767장(4.6%)으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해 가온차트 연간 음반 판매량 상위 20위권을 살펴보면 1위 방탄소년단 '버터'(299만9천407장)를 비롯해 2위 NCT 127 '스티커'(242만7천559장), 3위 NCT 드림 '맛'(209만7천185장) 등 빅4가 무려 16개나 차지해 휩쓸다시피 했다.
나머지 순위 4개 가운데 4·6위 세븐틴과 9위 엔하이픈은 하이브 레이블 산하임을 고려할 때, 빅4가 아닌 아티스트로 상위 20위권에 안착한 음반은 사실상 18위 에이티즈 '제로_피버 파트 3'(73만7천124장)가 유일했다.
이를 두고 방탄소년단과 NCT를 필두로 한 '대형 플레이어'들의 선전이 K팝 음반 시장 확대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K팝 시장 확대에 따라 중소 기획사도 덩달아 호황을 맞는 이른바 '낙수효과'는 제한적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4대 대형 기획사 외에도 에이티즈나 더보이즈 등 해외 인기를 등에 업고 성장세가 눈에 띄었던 일부 팀들을 눈여겨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에이티즈는 2020년에는 '제로_피버 파트 1'을 37만9천52장 파는 데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판매량을 2배 가까이 끌어올렸다.
더보이즈 역시 2020년에는 다섯 번째 미니음반 '체이즈'가 36만8천911장 팔려 연간 26위를 차지했는데, 지난해에는 여섯 번째 미니음반 '스릴링'이 2배 가까운 64만2천992장 판매돼 연간 21위를 기록했다.
더보이즈 역시 첫 주 판매량이 '체이즈' 21만2천여장에서 '스릴링' 52만3천여장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를 두고 에이티즈 소속사 KQ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아티스트의 꾸준한 역량 계발, 회사의 아낌없는 지원, 오랜 기간 만나지 못했는데도 변함없이 뜨거운 성원을 보내준 글로벌 팬 여러분 덕분"이라며 "새해부터 전 세계 12개 도시에서 아레나급 월드투어 개최 소식을 알리는 등 올해 더욱 기대되는 행보를 펼쳐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진우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은 "빅4 기획사가 가진 아티스트의 역량 때문에 앞으로 계속 이들이 60% 정도 점유하고 나머지가 40%를 가져갈 것"이라면서도 "과거에는 빅4가 시장을 이끌어가는 '후광효과'가 있었는데, 지난해 같은 경우는 중소 기획사 아이돌까지 각자 경쟁력을 가지고 성장해나가는 단계로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여옥, 대장암 4기 투병 고백…"암 걸렸다니 좋아하는 좌파들"
김호중 팬카페 대구경북아리스, 서구청에 1천만원 상당 후원품 전달
태영건설, 사과·오미자 주산지 문경 산북면에 의료폐기물소각장 추진…주민 반발
尹 면직 재가 직후 한상혁 "하늘에 한점 부끄럼 없어" 법적다툼 예고
엄마 잃게 만든 만취운전 그놈, '세종청사 공무원' 징역 8년 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