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됐다.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총회에서 한국은 투표에 참여한 192개 회원국 중 3분의 2 이상인 180개국의 찬성표를 획득하며 2024~2025년 임기의 안보 비상임이사국이 됐다.
아태 지역에서 1개국, 아프리카에서 2개국, 중남미에서 1개국, 동유럽에서 1개국을 각각 뽑는 이번 선거에서 한국은 아태그룹의 단독 후보로 나섰다.
한국이 안보리에 재진입한 것은 2013∼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유엔 가입 5년 만인 1996∼1997년 첫 비상임이사국으로 활약한 것까지 포함해 이번이 세 번째 임기다.
안보리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각종 논의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5개 상임이사국과 2년 임기의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은 5개 상임이사국에만 주어진 거부권만 행사할 수 없을 뿐 유엔 안보리의 현안 논의와 표결에 참여할 수 있다.
한국 외에는 아프리카에서 알제리, 시에라리온, 중남미에서 가이아나, 동유럽에서 슬로베니아가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 같은 임기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하게 됐다.
비상임이사국이 됨에 따라 한국은 향후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대응 등 안보리의 한반도 현안 논의에도 더욱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부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세계 전역의 자유와 평화, 번영을 증진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를 고대한다"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이날 '안보리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안보리 주요 현안에 대응하고 의제별 논의 진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본부-주유엔대표부-각 공관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영천 1500억 골프장 사업, 주민동의서에 발목 잡히나
이재명, 尹에 '민생영수회담' 제안…"조건없이 만나자"
의성군 신공항 추석 민심은?
여가부 "장모님·장인어른 대신 아버님·어머님 쓰자"
"김연경 배구 해설 반대한다" 트럭 시위 '이재영 팬클럽'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