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플란트 기반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덴티스가 국내 치과계 최초로 Cube-ASRS(큐브자동보관반출시스템)을 적용한 제3공장 착공에 들어갔다고 1일 밝혔다.
덴티스는 지난 1월 신공장 준공을 위해 대구혁신도시 의료연구개발지구 내 총 대지면적 1만4천761㎡(4천465평)의 부지를 확보한 이후 설계 및 행정절차를 거쳐 이날 공사 계약 체결을 마무리했다.
제3공장은 2026년까지 총 401억원을 들여 임플란트 신공장 신축 후 치과 의료기기 전용공장을 추가 건설하면서 2단계에 걸쳐 신축될 계획이다.
이번 착공에 들어가는 임플란트 신공장은 건축면적 5천525㎡(1천671평), 연면적 1만488㎡(3천173평) 규모로 115억원을 우선 투입해 신축한다.
신공장은 임플란트 자동화 생산 시설 외에도 국내 치과 관련 기업 최초로 'Cube-ASRS'이 적용된 획기적인 물류 자동화 공정이 구축된다.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입출하, 적치, 보관 등의 업무를 실시간으로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첨단 시스템인 'WMS'와 물류창고 내 다양한 물류 자동화 장비를 관리하는 운영 소프트웨어인 'WCS' 외에도 신규 추가되는 'Cube-ASRS'는 창고 면적을 4분의 1 수준으로 줄이면서 작업효율은 2배로 올리는 물류로봇 자동 창고 시스템이다. 화이자, 푸마, DHL 등 글로벌 기업들이 앞서 활용하고 있으며 치과계에서는 덴티스가 국내 최초로 적용한다.
덴티스는 이번 신공장에서 기존 생산 자동화 공정 확충과 더불어 첨단 물류 시스템을 통해 물류 공간과 관리의 효율성까지 극대화하면서 발 빠른 고객 수요 대응을 위한 생산성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공사 1단계로 임플란트 공장, 물류창고, 기숙사 등을 포함한 총 4개 동을 먼저 건설한다. 1단계 공사가 완료되면 치과 의료기기 제품 전용 공장을 추가로 증축해 오는 2026년 모든 공사 일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임플란트 신공장이 완공되면 연간 임플란트 생산량이 1천만 세트로 생산케파가 확대된다. 덴티스는 현재 최신 임플란트 제품 'SQ'의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중국 시장에서의 성장과 국내외 수요 확대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덴티스 관계자는 "이번에 건설된 신공장의 'Cube-ASRS' 등 신기술로 제품정보와 물류 흐름을 투명하고 정확하게 실시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입출하 과정에서 제품정보의 누락이나 정보 오류를 방지해 납기의 속도와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며 "신공장 완공 후 확충된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중국 시장을 비롯한 국내외 시장 성장세에 적극 대응할 것" 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尹에 '민생영수회담' 제안…"조건없이 만나자"
여가부 "장모님·장인어른 대신 아버님·어머님 쓰자"
"김연경 배구 해설 반대한다" 트럭 시위 '이재영 팬클럽' 논란
의성군 신공항 추석 민심은?
與 "이재명 영수회담 제안 뜬금없어…여야 대표회담이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