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6월부터 성조숙증 치료 주사제 건강보험 적용 연령 기준을 변경한다고 갑작스럽게 예고하면서, 성조숙증 검사를 예약한 환자 및 병·의원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다음 달부터 만 나이가 급여 적용 연령을 넘어서는 자녀를 둔 보호자들은 이달 중 검사를 받고자 진료 일정을 앞다퉈 당기는 한편, 성조숙증·성장 치료를 하는 병·의원은 예약 환자들에게 변경된 건보 기준을 일일이 안내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 18일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 일부개정고시안'을 행정예고했다.
성조숙증 치료에 쓰는 주사제인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agonist) 주사제의 급여 적용 연령 기준(여아 만 9세, 남아 만 10세)을 다음 달 1일부터 여아 만 8세, 남아 만 9세로 각각 한 살씩 낮추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료기관들에 따르면 이 주사제를 비급여로 맞을 경우 1회에 12~15만원, 급여 적용이 되면 3만원 수준이다. 다만 건보 적용을 받기 위해선 급여 적용 연령이 되기 전 성조숙증 관련 검사를 받고, 검사 결과가 확인돼야 한다.
문제는 당장 6월 1일부터 급여 적용 연령 기준이 낮아지면서, 다음 달 이후 성조숙증 검사를 예약한 만 8세(여아), 만 9세(남아) 환자들은 간발의 차로 건보 적용을 못 받게 된다는 점이다.
대구 한 소아청소년과의원 원장 A씨는 "성장클리닉에는 기본 1~2달 이상 환자 예약이 밀려 있다. 우리 병원에도 다음 달 기준으로 나이가 만 8세(여아), 만 9세(남아)를 넘는 예약 환자가 있어서 미리 검사를 받으라고 전화를 돌리고 있다"며 "성조숙증 치료는 보통 2년 정도 받아야 해 보호자들이 비용에 대단히 민감해 한다. 적어도 유예 기간을 두고 급여 적용 기준을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복지부의 전자공청회 게시판에서도 한 보호자는 "자녀가 8세 3개월 여아이고 6월에 검사 예약을 했다"며 "병원 예약이 힘들고 검사 결과가 나오는 데도 며칠이 걸리는데, 성조숙증 검사를 앞둔 만 8세 여아를 둔 부모 입장에서 너무 당혹스러운 예고"라고 지적했다.
복지부는 의사들이 진료 시 참고하는 임상진료지침에 '성조숙증은 여아 만 8세, 남아 만 9세 전 검사를 하고, 이후 주사제 투여를 시작한다'는 기존 내용을 이번 고시 개정을 통해 명확히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복지부 보험약제과 관계자는 "최근 성조숙증 주사제가 '키 크는 주사'로 잘못 알고 있는 보호자들이 많은 상황에, 급여 기준 변경을 위한 유예 기간을 두면 오히려 그 기간에 병원에 환자가 몰려 불필요한 진료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점이 우려된다"며 "의견 청취 기간인 26일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비롯해 내부적으로 논의를 해보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전여옥, 대장암 4기 투병 고백…"암 걸렸다니 좋아하는 좌파들"
김호중 팬카페 대구경북아리스, 서구청에 1천만원 상당 후원품 전달
엄마 잃게 만든 만취운전 그놈, '세종청사 공무원' 징역 8년 구형
태영건설, 사과·오미자 주산지 문경 산북면에 의료폐기물소각장 추진…주민 반발
尹 면직 재가 직후 한상혁 "하늘에 한점 부끄럼 없어" 법적다툼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