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최대 독립만세 운동을 기리는 '영해 3·18 독립만세 문화제'에 독립유공자 유가족과 경북도민 등 2천여 명이 몰렸다.
경북도는 18일 영덕군 영해로터리 일대에서 '영해 3·18 독립만세 문화제'를 열었다.
문화제는 영남 최대 만세 운동인 '영해 3·18 독립만세 운동 정신'을 되새기고자 올해로 36번째 개최한 것이다. 3·18 독립만세 운동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후세에 올바른 나라사랑 정신을 전해주는 데 의미를 뒀다.
영해 3·18 독립만세 운동은 1919년 3월 1일 일제식민지 치하 서울에서 일어난 3·1 만세 의거에 영향을 받아 같은 달 18일 영해·영덕 장날을 기해 영덕군 전역에서 일어난 조직적 만세 의거다.
일제 경찰이 벌인 강제 해산 등 결과로 8명이 순국하고 196명이 체포돼 185명이 실형을 선고받는 등 독립의 염원을 뜨겁게 내비친 저항 운동이었다.

올해 문화제에는 도내 기관단체장, 독립유공자 유가족, 보훈단체 회원, 도민 등 2천여 명이 참석했다. 윷놀이·줄다리기 대회, 태극기 페이스페인팅 그리기 등 각종 체험·전시 등 문화 행사를 시작으로 본 행사인 기념식과 횃불 행진이 이어졌다.
김진현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이번 문화제를 통해 민족의 저력을 보여준 3·18 만세운동의 독립정신을 되새기고, 선열들의 빛나는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며 "경북도는 앞으로도 앞장서서 영덕을 포함한 애국 현장을 잘 가꾸고 추모 사업을 확장하는 등 자랑스러운 역사와 정신을 미래 세대에 물려주고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근혜 前대통령 귀향 1년…달성 사저 앞 방문객 '뚝'
"윤석열 퇴진" 외친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전주서 첫 시국미사
[영상] 이근, 법정 밖에서 유튜버 '구제역' 얼굴 주먹으로 때려
與 지도부 입성 태영호 "수도권에 사드 추가 배치 검토해야…中 견제보다 안보가 먼저"
티웨이항공 '대구행' 31일 주총 결론…본사 소재지 이전 안건 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