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SMR·울진원자력수소·안동바이오생명…'복수' 자신있는 경북도

  • 0

경북도, 지난 27일 국토부에 후보지 3곳 보완자료 제출…경주 SMR은 원전산업 수출과 기술 확보
울진 원자력수소는 청정수소 생산·저장 생태계 구축…안동 바이오생명은 백신 전 주기 지원

지난해 12월 울진군 관계자들이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유치를 위한 군민 서명부를 경북도지사에게 전달하고 있다. 울진군 제공
지난해 12월 울진군 관계자들이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유치를 위한 군민 서명부를 경북도지사에게 전달하고 있다. 울진군 제공

경상북도가 내달 신규 국가산업단지 발표를 앞두고 선정 가능성이 커진 경주SMR국가산단과 울진원자력수소 국가산단(매일신문 1월 4일 보도) 등의 유치전에 막바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북도는 최근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의 사업성을 높일 방안을 보충해 달라"는 국토교통부 요청에 따라 지난 27일 국토부에 보완 자료를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보완 자료에는 각 산단의 조성 속도와 사업성을 높일 전략을 담았다. ▷사업 시행자로 경북개발공사가 참여하는 방안 ▷지자체가 산단 안팎에 도로·수도 등 기반시설을 설치할 여력 ▷미분양 시 분양을 활성화할 대책 등을 설명했다.

이번 신규 국가산단 지정은 윤석열 정부가 지역 주력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산업 거점을 조성하고자 추진하는 것이다. 전국 10개 시도 19개 후보지가 경합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해 10월 21일 국토부에 ▷경주 SMR(소형 모듈 원자로) 국가산단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단 등 3곳에 대한 지정 제안서를 제출했다.

경주 SMR은 원전산업 수출과 기술 확보, 울진 원자력수소는 청정수소 생산·저장 생태계 구축, 안동 바이오생명은 백신 전 주기 지원 등을 핵심 목표로 한다.

경북도는 지역 3개 후보지 모두 지역 산업 특징에 맞춰 기획한 데다 핵심 앵커 기업을 보유했고, 산단 조성·지원에 필요한 공공기관이 집적했으며, 주변 지역과 연계성이 높고 토지개발 규제지역도 없어 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경북도는 이번 공모에서 2개 이상의 지역 국가산단이 지정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초 정부가 발표한 '주요업무 추진계획'에 "SMR, 원자력수소생산 등 관련 국가산단을 신규 조성한다"는 내용이 포함돼서다.

국토교통부는 전문가 평가와 심의를 거쳐 내달 중순 이후 최종 결과를 발표할 전망이다. 이전 정부들(통상 임기 내 7개 안팎)보다 많은 10개 안팎의 국가산단을 지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17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SMR(소형모듈형원자로) 안전규제 방향' 마련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17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SMR(소형모듈형원자로) 안전규제 방향' 마련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경북도내에는 9개 국가산단이 지정돼 있다. 모두 2천605개 사가 입주해 10만명을 고용하는 등 지역의 생산거점으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원자력과 수소, 백신산업은 모두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산업이다. 경북이 다시 한 번 대한민국 산업경제의 중심이 되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와 안동시가 지난해 10월 개최한 '2022 경북 바이오생명 엑스포'를 계기로 지역특화산업인 바이오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성장시킨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안동 헴프산업 특구를 찾았다. 안동시 제공
경북도와 안동시가 지난해 10월 개최한 '2022 경북 바이오생명 엑스포'를 계기로 지역특화산업인 바이오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성장시킨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안동 헴프산업 특구를 찾았다. 안동시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