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시절 경찰 고위직을 호남과 부산경남(PK)출신이 독식하는 등 지역 차별이 심각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임병헌 국민의힘 의원(대구 중구남구)은 경찰청에서 문 정부 시기인 2017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총경급 이상 승진자의 출신 지역 별 현황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호남과 PK 출신의 독식이 두드러졌다고 3일 밝혔다.
임 의원에 따르면 이 기간 경찰 최고위직인 치안총감 2명은 부산과 전남 출신이 각각 차지했다. 또 바로 아래인 치안정감은 전체 29명 중 경남 출신이 6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 출신이 4명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경북과 경기, 인천, 울산 출신자가 치안정감으로 승진한 사례는 5년 간 한 명도 없었다. 대구에서는 3명이 치안정감에 올랐다.

치안감의 경우 서울 출신이 11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과 충북 출신이 각각 7명, 광주 출신이 5명 등으로 뒤를 이었다. 대구는 4명, 경북에서는 2명이 치안감으로 승진했으며 경기와 인천은 치안감 승진자 역시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경찰의 별'로 불리는 경무관 승진자도 경남 출신이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와 서울 출신이 각각 13명으로 뒤를 이었다. 문 정부 시기 경무관 승진자는 모두 112명이었는데, 부울경과 호남 출신이 57명으로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총경의 경우 서울 출신이 53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광주(49명)와 경남(47명), 부산(40명), 전북(40명) 등의 순이었다.
임 의원이 공개한 상세 자료를 보면 총경부터 치안총감까지 고위직 승진자 가운데 서울 출신이 80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74명)과 광주(71명), 부산(59명) 출신 순으로 승진자가 많았다. 대구는 50명, 경북은 43명이 문 정부 기간 경찰 고위직으로 승진했다.
임 의원은 "왜 지난 정부에서 발생한 각종 의혹 사건들이 제대로 수사되지 않았는지, 더불어민주당이 검수완박에 왜 집착했는지 이유를 짐작하고도 남겠다"며 "인위적 지역 안배도 바람직하진 않지만, 노골적 지역 편중 인사는 경찰 조직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내부 반목을 불러오는 만큼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6년만에 장외투쟁…이재명 "정치보복에 역량 낭비해 민주주의 추락" 尹정권 맹폭
이태원 참사 유가족-경찰 대치 속 맨 앞줄 여성 쓰러져…"인사사고 날라"
이재명 모른다던 김성태가 입 연 이유?…"내의 사입은 인연뿐" 발언에 배신감
신평 "안철수 대표되면 尹 탈당할수도"→이준석 "김기현 후원회장직 사퇴하라"
김기현, 나경원과 회동…전당대회 협력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