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장애인 시설의 비윤리적 운영이 범법 행위로 드러나 여론의 손가락질을 받고 있다. 의사 표시에 미숙한 장애인의 약점을 노린 행태였기에 비난의 강도가 센 것이다. 지난 4월 본지에 보도된 경북 안동의 한 장애인 거주 시설 인권 유린 행위 등도 비판의 도마에 오르고 있다. 경찰은 직업재활 근로 장애인의 임금을 횡령한 혐의로 이곳의 전 원장을 구속했다. 아직은 혐의 단계로 법정의 판결을 받아야 한다. 그렇지만 근본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현장을 잘 알고 있는 내부고발자 보호 등에도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속울음을 삼켰을 장애인들의 고초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해진다. 운영 단체를 막론하고 일부 장애인 시설의 일탈은 심심찮게 터져 나온다. 비인간적 대처는 여러 곳에서 드러난 바 있다. 악행은 사소한 데서 시작한다. 작은 폭력도 만성이 되면 구성원들이 잘못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한 번 감은 눈의 신경은 둔화되고 마비되기 마련이다. 장애인들이 피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의사를 제대로 전하기 어렵다는 게 측은의 감정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안동의 경우 행정 당국이 매년 점검을 해 왔다지만 매번 문제가 없다는 평가를 내렸다고 한다. 보다 못한 일부 직원들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묵살됐다고 한다. 결국 내부고발자의 학대 행위 영상이 있었기에 만행이 공개될 수 있었다. 그들의 용기 덕분이다. 장애인 시설 비리는 내부인의 조력 없이는 알 수 없는 구조였다.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어느 지점에 와 있는지 되돌아봐야 할 이유다.
영유아, 장애인 등 약자를 상대로 한 범죄는 보다 엄하게 다뤄야 한다. 보호자의 무한 신뢰를 거스른 작태이기 때문이다. 형량과 자격 제한을 강화해 공동체적 신의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감독해야 할 행정 당국도 장애인들의 목소리를 듣는 데 적극적이었는지 돌이켜봐야 한다. 적발과 단속보다 예방이 훨씬 좋은 방책임은 분명하다. 후진적 인권 유린 행태가 반복되지 않게끔 안전망을 갖추길 주문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순자 "밤새 업어 키웠는데 할아버지 얼굴에 먹칠을"…전우원, 할머니 문자 공개
'혈세로' 유흥비·해외여행·개인계좌 입금…대통령실, 민간단체 보조금 314억 부정수급 적발
이낙연 “국가 위한 저의 책임 깊이 생각…24일 귀국”
野 "후쿠시마 오염수 우려 '괴담'이라 매도…국힘 아닌 '일본의힘'"
홍준표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정상 아냐…60%는 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