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0년 발생한 경북 안동 산불 피해지역이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변모하고 있다.
경북도는 23일 "안동 풍천·남후 대형 산불 피해지 복구 대상 1천78㏊ 면적을 되살리기 위해 2021년부터 3년에 걸쳐 161억 원 예산을 투입, 경관림·경제림 조성, 밀원수·특용수 조림 등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해 4월 24~26일 사흘간 발생한 산불은 건조 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9~19㎧의 강풍을 만나 크게 확신돼 209억 원의 산림 피해를 냈다.
경북도는 산림 피해지의 체계적 복구를 위해 지역주민, 자문위원 등 의견을 수렴, 산불 피해지 복구 사업 기본계획 용역을 진행했다.
그 결과 산림의 종 다양성, 건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침엽수와 활엽수를 섞은 혼효림을 조성하기로 했다. 또한 주요 시설물 피해, 대형 산불로의 확산 방지 등을 위해 불에 잘 견디는 내화수종을 심은 내화수림대 조성도 하기로 했다.
1·2차 연도에는 각 400㏊씩 총 800㏊가 대상이며 3차 년도에는 278㏊에 조림 작업을 펼친다.
지난해 1차 연도에는 산불 피해지를 지나는 중앙고속도로 주변으로 내한성, 내공해성이 강한 산벚나무를 심었고 민가 주변 등에는 흰 봄꽃으로 유명한 이팝나무를 중점 식재했다. 총 식재 그루 수는 59만3천 본이다.
올해에는 내화수종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를 심어 산불 예방, 대형 산불로의 확산 방지를 꾀하고 있다.
또한 눈에 띄는 가시권역 내 경관이 뛰어난 지역에는 산벚나무, 이팝나무를 식재하고 목재 생산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숲 조성을 위한 낙엽송 식재에도 나서고 있다.
이처럼 침엽수, 활엽수를 섞은 혼효림을 만들기 위해 총 80만5천 본을 식재했다.
현재까지 심은 나무는 누적 139만8천 본에 달한다.
내년에는 지역주민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밀원수(벌이 꿀을 빨아올 수 있는 꽃이 피는 나무), 특용수인 헛개나무를 식재하고 능선부를 따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을 심어 내화수림대를 조성할 예정이다. 총 41만7천 본을 식재한다.
경북도는 이 같은 인공 조림이 경제성 보장, 산주 희망 수종 식재, 밀도 및 높이가 균일한 숲 조성으로 관리 용이 등 장점이 크다고 본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한 순간 부주의로 잃어버린 소중한 산림을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복구해 미래 세대가 풍요로운 산림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찬원·정동원 '문경사과축제 개막공연' 동반 출격한다
전여옥 "혈관으로 뷔페 먹던 이재명, 더럽고 악취진동 사기단식"
국민의힘은 왜 김부겸 비대위를 가장 경계할까
[세풍] 내 삶을 위한 정치를 원한다
설훈, 가결표 던졌다…서영교 "'내가 이재명 탄핵했다'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