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안동산불 피해지, 아름다운 숲으로 변신 중

총 복구면적 1천78㏊ 중 800㏊에 산벚·상수리 등 139만8천 본 식재
내년에도 278㏊에 41만7천 본 식재 예정

2020년 발생한 안동 산불 피해 당시의 모습. 산림이 검게 변해 있다. 경북도 제공
2020년 발생한 안동 산불 피해 당시의 모습. 산림이 검게 변해 있다. 경북도 제공
지난해 1차 조림 작업이 마무리된 안동 산불 피해지 모습. 초록의 빛을 회복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지난해 1차 조림 작업이 마무리된 안동 산불 피해지 모습. 초록의 빛을 회복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지난 2020년 발생한 경북 안동 산불 피해지역이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변모하고 있다.

경북도는 23일 "안동 풍천·남후 대형 산불 피해지 복구 대상 1천78㏊ 면적을 되살리기 위해 2021년부터 3년에 걸쳐 161억 원 예산을 투입, 경관림·경제림 조성, 밀원수·특용수 조림 등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해 4월 24~26일 사흘간 발생한 산불은 건조 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9~19㎧의 강풍을 만나 크게 확신돼 209억 원의 산림 피해를 냈다.

경북도는 산림 피해지의 체계적 복구를 위해 지역주민, 자문위원 등 의견을 수렴, 산불 피해지 복구 사업 기본계획 용역을 진행했다.

그 결과 산림의 종 다양성, 건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침엽수와 활엽수를 섞은 혼효림을 조성하기로 했다. 또한 주요 시설물 피해, 대형 산불로의 확산 방지 등을 위해 불에 잘 견디는 내화수종을 심은 내화수림대 조성도 하기로 했다.

1·2차 연도에는 각 400㏊씩 총 800㏊가 대상이며 3차 년도에는 278㏊에 조림 작업을 펼친다.

지난해 1차 연도에는 산불 피해지를 지나는 중앙고속도로 주변으로 내한성, 내공해성이 강한 산벚나무를 심었고 민가 주변 등에는 흰 봄꽃으로 유명한 이팝나무를 중점 식재했다. 총 식재 그루 수는 59만3천 본이다.

올해에는 내화수종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를 심어 산불 예방, 대형 산불로의 확산 방지를 꾀하고 있다.

또한 눈에 띄는 가시권역 내 경관이 뛰어난 지역에는 산벚나무, 이팝나무를 식재하고 목재 생산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숲 조성을 위한 낙엽송 식재에도 나서고 있다.

이처럼 침엽수, 활엽수를 섞은 혼효림을 만들기 위해 총 80만5천 본을 식재했다.

현재까지 심은 나무는 누적 139만8천 본에 달한다.

내년에는 지역주민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밀원수(벌이 꿀을 빨아올 수 있는 꽃이 피는 나무), 특용수인 헛개나무를 식재하고 능선부를 따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을 심어 내화수림대를 조성할 예정이다. 총 41만7천 본을 식재한다.

경북도는 이 같은 인공 조림이 경제성 보장, 산주 희망 수종 식재, 밀도 및 높이가 균일한 숲 조성으로 관리 용이 등 장점이 크다고 본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한 순간 부주의로 잃어버린 소중한 산림을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복구해 미래 세대가 풍요로운 산림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