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맙다 애플" 7%대 급등에 뉴욕증시 덩달아 반등…나스닥 3.1%↑

애플 '어닝 서프라이즈' 발표하며 반등 주도…구글·아마존·MS도 3% 안팎 상승

서울 애플스토어 여의도점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애플스토어 여의도점의 모습. 연합뉴스

글로벌 대장주 애플이 사상 최대 매출과 순이익을 기록하자 그간 하락세를 이어가던 미국 뉴욕 증시도 급반등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64.69포인트(1.65%) 오른 34,725.47에 마감했다. 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05.34포인트(2.43%) 오른, 4,431.8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17.79포인트(3.13%) 급등한 13,770.5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의 상승폭은 지난 2020년 6월 이후 가장 컸다. 다우 지수도 지난해 12월 6일 이후 최대폭 오름세를 나타냈다.

3주 연속 하락세던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1.3%, 0.8%의 주간 상승률로 부정적 흐름을 멈췄다. 주초 하락폭이 더 컸던 나스닥도 보합 수준으로 한 주를 마쳤다.

CNBC방송은 이들 지수가 부진을 끊고 이날 2022년 들어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고 평가했다.

미 주요 지수들은 한동안 금리인상 공포 속에 새해 들어 부진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르면 3월 금리인상 시작과 연내 양적긴축을 예고하며 시장을 짓눌렀다.

그럼에도 '빅테크' 기업의 호실적이 투자 심리를 되살린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시가총액 1위 애플이 전날 장 마감 후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실적에서 월가 전망치를 넘어서는 사상 최대 매출과 순이익을 내놓자 주가가 7.0% 급등하며 반등장을 주도했다.

알파벳(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3.4%, 3.1%, 2.8% 상승 마감했다.

다만, 아직 연준의 긴축 공포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변동성이 심한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준이 주로 참고하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12월 40년 만에 최대폭인 5.8%(전년 동월 대비) 급등했다. 이에 미 금융권은 당초 예상보다 강도 높은 금리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실었다.

이날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연준이 연내 7차례에 걸쳐 각 0.25%씩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윙위 BMO자산운용 최고투자전략가는 CNBC방송에서 "큰 폭의 장중 움직임은 시장이 현재 직면한 긴축이라는 난관을 잘 보여준다. 당분간 새로운 뉴스가 들어올 때마다 시장이 과민반응하는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