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구지역 수출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 수출은 전년 대비 26.6% 증가한 79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75억달러를 웃도는 수치이며, 2018년 81억달러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지난해 세계 교역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대구 수출은 호조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달은 역대 월간 수출 최고치인 8억1천200만달러를 달성하기도 했다.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지역 수출이 기계류, 섬유류에서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16.4% 감소(62억6천만달러)한 것과 비교되는 반전이다.
지난해 대구 수출은 미국,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자동차부품, 정밀화학원료 수출이 강세를 보였다.
자동차부품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불안정에 따른 생산 차질에도 27.9%(11억달러) 증가했다. 정밀화학원료는 전기차 전환에 따른 2차전지 수요 증가로 190.9%(7억달러) 증가하며 지역 수출을 견인했다.
이외에도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농기계 수출이 62.4% 늘었고, 의류 신흥국의 코로나 상황이 안정되면서 원부자재인 직물 수출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도 여전히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공급망 회복 지연, 고물가 현상 지속 등 불안요인이 남아 있지만, 세계 경제는 회복세에 기반한 교역 증가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가 발표한 '대구경북 2021년 수출입 평가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은 2차전지 소재 등이 지역 수출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부품은 여전한 차량용반도체 부족 여파로 수출 둔화 우려가 있어, 전체적인 지역 수출은 2021년 대비 1.9% 증가한 81억달러로 전망했다.
대구시는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려 메타버스 활용 가상상담회, 해외 온라인플랫폼 활용 사업 등 신규사업을 추진한다. 물류대란에 대비한 수출 물류비를 지원하는 등 지역기업을 위한 다양한 해외마케팅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위기를 기회로 바꾼 지역 경제인에게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며 "지역 경기가 탄탄한 회복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전략적 통상지원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순자 "밤새 업어 키웠는데 할아버지 얼굴에 먹칠을"…전우원, 할머니 문자 공개
'혈세로' 유흥비·해외여행·개인계좌 입금…대통령실, 민간단체 보조금 314억 부정수급 적발
이낙연 “국가 위한 저의 책임 깊이 생각…24일 귀국”
野 "후쿠시마 오염수 우려 '괴담'이라 매도…국힘 아닌 '일본의힘'"
홍준표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정상 아냐…60%는 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