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1억 번 '오징어게임' 실사판 美 유튜버… 지난해 전세계 유튜브 '수익 1위'

미국 유튜버 지미 도널드슨(23)이 진행한 '오징어게임' 실사판. 사진 트위터 luciox34 캡처
미국 유튜버 지미 도널드슨(23)이 진행한 '오징어게임' 실사판. 사진 트위터 luciox34 캡처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실사판 세트장을 만들어 화제를 모았던 미국 유튜버 지미 도널드슨(23)이 지난해 유튜브로 5천 400만 달러(한화 약 641억 원)를 벌어 전세계 유튜브 수입 1위 자리에 올랐다.

14일(현지시각) 영국 BBC 등 외신에 따르면 유튜브 채널 '미스터 비스트'를 운영 중인 도널드슨은 미국 경제잡지 포브스가 발표한 '세계에서 가장 큰 돈을 벌어들인 유튜브 스타 10명'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체험형 콘텐츠로 인기를 끈 도널드슨은 현재 8천 700만여 명의 구독자를 보유 중이며 그가 지난 한 해 동안 올린 유튜브 동영상의 조회수만 총 100억 회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언론은 "도널드슨이 지난해 유튜브로 벌어들인 수익이 5천 400만 달러(한화 약 641억원)에 달한다"면서 "이는 월스트리트 최고경영자(CEO)의 평균 연봉보다 많은 금액"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지난해 8만 여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실내 경기장을 빌려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인 '오징어게임' 실사판을 개최해 전세계적인 이목을 끌었다.

당시 그는 세트에만 23억 원을 쓰고 총 상금 17억 원 등 총 40억 원의 비용을 들여 해당 콘텐츠를 제작했다. 현장에는 456명의 참가자가 모여 실제 게임을 펼쳤으며 우승자는 상금 45만 6천 달러(한화 약 5억 4천만 원)를 받아 갔다. 이 과정에서 일부 탈락한 참가자들에게도 상금이 돌아갔다.

한편, 이번 순위에서 2위를 차지한 유튜버는 격투기 콘텐츠를 선보이는 제이크 폴이었다. 2018년 이후 처음 순위에 이름을 올린 그는 지난해 4천 500만 달러(한화 536억 원)의 수익으로 2위에 안착했다.

지난 2년 간 1위를 차지했던 11살 장난감 유튜버 라이언 카지는 올해 7위로 밀려났다.

또 순위를 조사한 포브스는 유튜버가 올린 동영상의 조회수가 곧바로 수입과 직결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유튜버들이 동영상 외에도 브랜드 파트너십, 스폰서 계약, 상품 판매 등을 통해 추가적인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었기 때문.

때문에 전체 유튜브 콘텐츠의 3분의 2 가량이 비영어권 동영상이지만 큰 돈을 벌어들이는 이들 중에는 영어권 유튜버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