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대구도심 통과방식 논란 가중

경부고속철의 대구도심 통과방식을 놓고 철길주변 주민들간에 의견이 엇갈리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대구 서구의 철길 주변 주민들이 지난 5월부터 '철길 주변의 대대적 개발을 전제로 한 지상화' 서명 운동을 벌이는데 맞서 최근 일부 주민들이 '고속철 지상화 반대 추진위원회'를 만들고 경부고속철과 경부선의 지하화를 요구하고 나선 것.

반대추진위원회는 지난 8일 대구시의회에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도심통과방식 설명회가 열리자 지상화를 반대하는 주민 등 50명으로 모임을 만들고 "기존 경부선과 고속철의 병행(竝行) 지상화는 지금보다 더 많은 소음.진동이 따르고 전자파로 인한 새로운 고통에도 시달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대추진위는 또 지상화를 통한 철길 주변 개발은 지역 현실을 모르는 탁상행정이라 비판하고, 대구의 바람직한 발전을 위해서는 경부선과 고속철의 병행 지하화를 추진하거나 고속철의 직선지하화 및 경부선 이설추진이 필요하다고 했다.

반대추진위 최춘규(48) 위원장은 "10년이 넘도록 논란을 벌인 끝에 지난해 7월 직선 지하화로 대구시의 공식입장이 결정됐는데 다시 지상화를 주장한다는 것은 문제"라면서 "지상화를 찬성하는 일부 주민들의 주장을 전체 주민의 뜻으로 몰고 갈 수는 없다"고 했다.

최 위원장은 또 "대구의 미래와 후세를 위해서는 경부선의 외곽 이설이 바람직하며 이설에 드는 비용은 기존 경부선 부지를 매각하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추진위에는 백승홍 전 국회의원과 서중현 열린우리당 대구 서구지구당위원장 등이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대구시의회는 경부선이 지나가는 대구의 중.동.서.북구지역 철길 주변 주민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 오는 7월 임시회때 시의회의 입장을 정리해 대구시에 대책 마련을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