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수 화백 edtoon1@daum.net
[매일희평] 폭풍 도발
-
최병고 기자 cbg@imaeil.com
[데스크 칼럼] 미래는 당신의 생각보다 빠르다
실리콘밸리 혁신 기업가이자, 미래학자인 피터 디아만디스(Peter H. Diamandis)는 저서 '볼드'에서 현대적 기술 진보는 디지털화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혁신적인 기술은 6개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세상...
-
문화부 jebo@imaeil.com
[김건표의 인세이셔블 연극리뷰] 대한광복회와 세금 탈취 사건을 ‘사복무언(蛇卜無言)’의 불교사상으로…김한길 연출 경주시립극단의 <1915 경주 세금마차사건>
올해 광복절 78주년을 맞아 문화 기념행사가 다양하게 개최되고 있다. 경주시립극단의 예술감독 김한길 작가는 일제강점기 실제 있었던 경주 효현교 사건을 모티브로 (2023)를 '14회 국공립극단 페스티발'(경주예...
-
문화부 jebo@imaeil.com
[새론새평] 마약 청정국가, 마약 국가
요즘 마약이 사회 불안의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다. 미국 동부 필라델피아에 이어, 캘리포니아의 고즈넉하고 부유했던 샌프란시스코가 그 대표적인 피해 도시로 추락하고 있다. 마약으로 찌든 샌프란시스코는 캘...
-
매일신문
[사설] 국가 안전과 자유·평화·번영 이루는 것이 진정한 광복 경축
윤석열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우리의 독립운동은 국민이 주인인 나라, 자유와 인권, 법치가 존중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건국 운동이었다"며 "주권을 회복한 이후에는 공산 세력과 맞서 자...
-
매일신문
[사설] 광복회 결성지 대구에 기념비 없고, 독립기념관 건립도 하세월
대구에서 결성된 항일 무장단체 대한광복회가 새로 주목받고 있다. 광복회는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을 대표하는 항일 단체이다. 조선 팔도에 지부를 갖춘 전국적인 조직이었다. 광복회는 만주의 독립군 기지를 ...
-
매일신문
[사설] LH의 ‘임원 사직 쇼’, 철근뿐만 아니라 양심까지 누락했나
이한준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철근 누락 아파트 파문에 따른 조직 혁신 첫 조치로 상임이사 전원 사직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런데 알고 보니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격이었다. ...
-
매일신문
[관풍루] 광복절 특사 받은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고향 주민들에게 수백억 원 지급한 데 이어 최근 초교 여자 동창생들에게 거액 증여
○…광복절 특사 받은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고향 주민들에게 수백억 원 지급한 데 이어 최근 초교 여자 동창생들에게 거액 증여. 인심 크게 쓰는 것도 좋지만 양질 아파트 짓는 게 진짜 사회 환원.
○…일본 총리와...
-
권성훈 기자 cdrom@imaeil.com
[기고]1953년 이후 두 번의 35년(1988, 2023)
"페허 속에서 바흐의 선율이 들려온다."
6.25 전쟁 중 피란 수도 대구의 르네상스 다방에 온 외국 기자의 타전이다. 폐허였다. 불타버린 산이었다. 사방에 희망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엄혹한 세월, 1953년 휴전 ...
-
최경철 논설위원 koala@imaeil.com
[야고부] 외로움에 대한 국가 책무
정치판에서 뛰다가 낙선했거나, 나이가 들어 은퇴한 전직 정치인들을 만나 보면 이구동성으로 듣는 얘기가 있다. 현역 시절 1분이 멀다 하고 울려 대던 전화기가 울지 않는 '캔디폰'이 돼 너무 외롭고 혼자 고립...
-
모현철 뉴스국 부국장 momo@imaeil.com
[시각과 전망] 책임지지 않는 정치
'오징어 게임'(생존 게임)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던 '2023 새만금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가 막을 내렸지만 부실 준비 책임 소재를 놓고 책임 공방이 불붙고 있다. 국민의힘은 잼버리 유치가 2017년 문재인 정부 시...
-
김경수 화백 edtoon1@daum.net
[매일희평] 버텨다오??
-
배주현 기자 pearzoo@imaeil.com
[취재현장] 영화도시 대구
지난달 동유럽 체코에서 반가운 소식이 들렸다. 그곳에서 동유럽의 칸 영화제라고 불리는 '제57회 카를로비바리국제영화제'가 열렸는데, 한국 영화가 프록시마 경쟁 부문에서 대상(그랑프리)을 수상했다. 이 소식...
-
문화부 jebo@imaeil.com
[매일춘추] 독재자와 미술품
웃는 아기의 모습에서처럼 '미술품 수집'이라는 단어가 주는 이미지로부터 우리는 폭력을 떠올리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잔혹한 폭력의 주인공에게서 예술이 주는 고양된 인격의 이미지를 찾을 수 없다. 그러나 더...
-
배주현 기자 pearzoo@imaeil.com
[기고] 생태힐링명소 부상하는 도원지
8월 14일은 녹색 숲에서 에너지를 재충전하며 힐링하자는 의미의 그린데이(Green Day)이다.
자연은 도시인들의 지친 삶을 보듬어 주는 어머니 같은 존재이다. 그린 카펫 정책으로 자연을 일상으로 끌어들이는 대...
댓글 많은 뉴스
이찬원·정동원 '문경사과축제 개막공연' 동반 출격한다
전여옥 "혈관으로 뷔페 먹던 이재명, 더럽고 악취진동 사기단식"
이상민 "이재명 옥중공천? 여기가 신흥 종교집단인가"
[세풍] 내 삶을 위한 정치를 원한다
국민의힘은 왜 김부겸 비대위를 가장 경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