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서 6세기 신라 '토지 관리 문서' 목간 나왔다

1차로 94자 판독…곡(谷)·답(畓)·제(堤)·결(結)·부(負) 주목

6세기 신라인이 토지 관리와 조세 제도 양상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문자를 기록한 나무조각)이 경북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출토됐다.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경산 소월리 유적을 발굴 조사 중인 화랑문화재연구원은 신라시대 토지와 관련된 목간이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길이 74.2㎝에 달하는 목간은 최근 공개된 사람 얼굴 모양 토기 아래서 출토됐다. 지난 6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진행한 1차 판독 결과 목간에는 총 6면에 걸쳐 글자 94자가 새겨진 것이 밝혀졌다. 6면 중 2면은 동일한 글자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글씨를 연습한 용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록된 글자의 서체나 내용으로 볼 때 6세기 대에 오늘날 경산 인근 지역의 토지 현황을 기록한 토지관리 문서 목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목간 A면에는 '십부감말곡답칠(?)□제상일결 구미곡삼결 제하십부(卌負甘末谷畓七(?)□堤上一結 仇彌谷三結 堤下卌負)'라는 글자가 써 있다.

경북 경산 소월리에서 출토된 목간 글자. 문화재청 제공
경북 경산 소월리에서 출토된 목간 글자. 문화재청 제공

연구소는 94자 중에서도 곡(谷)과 제(堤), 결(結), 부(負) 등 글자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소 관계자는 "골짜기(谷)와 둑(堤)을 중심으로 한 당시 지방 촌락의 입지, 농업 생산력 증대를 위해 축조한 제방과 그 주변에 자리하고 있는 논의 존재, 그곳을 대상으로 조세를 수취하는 중앙 정부의 지배 양상을 동시에 엿볼 수 있게 됐다. 결(結)이나 부(負)는 조세 부과를 위한 토지 면적 단위"라고 설명했다.

경북 경산 소월리에서 출토된 목간 글자의 적외선 촬영. 문화재청 제공
경북 경산 소월리에서 출토된 목간 글자의 적외선 촬영. 문화재청 제공

이 관계자는 "토지 면적 단위인 결(結)과 부(負)는 지금까지 삼국통일 이후 사용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에 발견된 목간을 통해 그 사용 시기를 6세기까지 올려볼 수 있게 됐다"면서 "당시 신라의 지방 지배와 토지를 중심으로 한 경제활동 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이번에 출토된 목간은 한국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했다.

또한 우리 고유의 한자로 논을 표현하는 답(畓) 역시 주목하고 있다. 해당 글자는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 제33호)에 처음 나왔다고 알려졌는데, 목간에 등장하는 답(畓)을 통해 목간의 제작연대도 비슷한 시기임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목간은 1차 판독이 완료된 상태로, 관련 학계와 함께 추가적인 판독 및 연구 과정을 거쳐 목간에 대해 더 다양한 해석과 내용을 공개할 계획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