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풍] 기억, 망각을 뛰어넘다

서종철 논설위원
서종철 논설위원

한·일 양국의 기질을 비교할 때 예로 꼽는 말이 있다. '한국인은 하고 싶은 말의 120%를 말하지만 일본인은 70% 정도만 말한다'는 표현이다. 이는 정치사회적 환경이나 국민성, 인간관계 구조, 집단의식의 차이가 빚어낸 갈래라는 점에서 서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한국인은 대체로 솔직하게 또 직선적으로 말하는 기질이다. 반면 일본인은 상대와 적당히 거리를 두면서 늘 내심을 감춘다. 이런 불분명한 태도가 미덕으로 여겨질 만큼 특유의 '찜찜하고 요령부득'의 언어 문화로 굳어진 것이다.

일본인이 내뱉는 70%의 말도 이해하기 어려운 때가 있다. 그런데 특히 주목할 것은 나머지 30%의 '남겨둔 말'이다. 대다수 일본인이 좀체 입 밖으로 내지 않는 30%의 말 중에는 상황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변질할 가능성이 있는 게 함정이다. 개인과 조직, 집단, 국제 관계에서 곧잘 드러나는 일본인의 기질적 특성 즉 '맺고 끊음이 없는 어정쩡한' 화법과 '감춰진 속내(혼네)'라는 변수는 늘 논란이 되고 마찰과 혼선의 화근이다.

아베 정부가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에 관한 우리 대법원 판결에 발끈해 내지르는 품위 없는 말과 행동에도 그런 독가시들이 삐져나온다. 한국에 노골적으로 적개심을 드러내고 경제 보복의 포문을 열었지만 국제사회의 비판 여론이 커지자 뻔한 변명을 쏟아내고 거짓말로 분칠하기 시작했다. 대법원 판결에 대한 대응 차원의 '수출규제'라고 하더니 시간이 지나자 '한국의 불충분한 수출관리에 따른 안보 문제', '안전 보장을 위해 무역관리제도를 재검토한 것' 등 포장지가 계속 바뀌고 혀가 꼬이기 시작한 것이다. 정부가 불러주는 대로 받아써온 일본 신문 방송들이 이번 사태에 계속 갈팡질팡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적당히 명분을 만들기 위해 끌어대고 덧대는 전형적인 일본식 화법이 빚은 소동이다.

이런 수법을 뻔히 아는데도 일본 정부와 일부 극우 언론은 여전히 낡은 화법을 되풀이한다. 3일 우리 정부가 일본의 도발에 맞서 일본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다고 결정하자 세코 히로시게 일본 경제산업상은 "한국이야말로 냉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참 뻔뻔하고 경우가 없는 췌언이다. 아베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난동' 등 일련의 행위에서 그동안 숨겨온 일본의 '본심'이 충분히 읽힌다. 남에게 폐 끼치는 것을 꺼리는 '메이와쿠'(迷惑) 의식에 깔린 이중성과 일본 사회의 비틀어진 집단 심리도 확인했다.

지난 반세기 일본이 우리에게 보인 갖가지 무례와 무도함은 그들이 앞세우는 메이와쿠와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다. 초계기 도발과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금지에 반발한 WTO 패소 사건,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등에 이성을 잃고 난리를 친 쪽은 일본이다. 일본 반도체 산업 실패 보고서이자 반성문인 '일본 반도체 패전'을 쓴 유노가미 다카시의 진단처럼 심각한 '과잉 기술병(病)'에 걸려 반도체 산업에서 도태된 일본이 꺼낼 수 있는 카드는 양국 관계를 파탄내고 한국의 앞길을 가로막는 도발뿐이다. 억지 논리와 말 돌리기, 진실 가리기 등 얕은 수의 프로파간다는 그들이 늘 써먹는 양념이다.

'왜구'는 늘 한반도에서 노략질을 일삼았다. 1510년 조선의 중종은 삼포(三浦)에 살던 왜인들이 불법을 일삼자 왜관을 폐쇄했다. 이에 불만을 품고 대마도 왜구들과 합세해 폭동을 일으켰다. 조선 군민 272명이 피살되고 수백 채의 민가가 불탔으며 왜적 295명도 죽거나 사로잡혔다. 기억은 망각을 일깨운다. 누가 제 악행을 계속 망각하고 있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