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공항이 걸어온 길] 1961년 개항, 60년만에 자리 옮긴다

대구공항 전경 사진. 매일신문 DB
대구공항 전경 사진. 매일신문 DB

대구경북의 새로운 관문이 될 통합신공항의 위치가 오늘(21일) 확정된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단순히 좁은 공항을 확장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구경북이 세계로 직접 뻗어나갈 수 있는 전기가 될 전망이다. 대구공항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될 이 시점에 대구공항과 통합신공항이 결정되기까지의 역사를 살펴봤다.

2002년 대구국제공항에 첫 취항한 중국 북방항공 승무원들이 환영 꽃다발을 받은 뒤 이륙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2002년 대구국제공항에 첫 취항한 중국 북방항공 승무원들이 환영 꽃다발을 받은 뒤 이륙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그래픽 디지털국 박소현 기자.
그래픽 디지털국 박소현 기자.

◆1961년 개항…한때 '유명무실' 신세

대구공항의 역사는 일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군이 군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경북 달성군 동촌면(현 대구시 동구 지저동) 일대에 조성한 '동촌비행장'이 지금 대구공항의 모태다.

이후 1950년 7월 2일, 장성환 공군 중령 등 10명의 조종사가 일본 이다츠케 공군기지에서 미국 공군 F-51 무스탕 전투기 10대를 지원받아 오면서 대구공항은 전시 공군기지로서의 역할을 완벽히 해낸다.

1954년 2월 일본으로 신혼여행을 갔다가 유엔군 위문차 대구 동촌비행장을 방문한 마릴린 먼로의 모습.
1954년 2월 일본으로 신혼여행을 갔다가 유엔군 위문차 대구 동촌비행장을 방문한 마릴린 먼로의 모습.

전쟁이 끝난 한참 뒤인 1958년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대구에 오면서 일대는 '공군비행장' 혹은 'K-2'로 불렸다. 1954년 2월에는 당시 미국의 인기 가수 마릴린 먼로가 유엔군을 위문하기 위해 대구 동촌비행장을 방문해 공연을 펼치기도 했다.

민간공항으로서의 대구공항은 1961년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로 첫 문을 열었다.

첫 취항편은 대구와 서울을 오가는 DC-3였다. 1996년 대구~부산~오사카 노선이 취항하면서 국제공항으로 첫 발을 내딛었지만 KTX 개통과 너무나 적었던 해외취항 편수로 인해 '유명무실한 공항'으로 낙인찍히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 저가 항공사들이 생기면서 대구국제공항은 재조명받게 된다. 2014년 티웨이항공과 제주항공이, 2016년 에어부산이 취항하면서 대구국제공항은 20여개 취항지를 갖추고 2018년에는 연간이용객 400만명을 달성하는 등 명실상부한 국제공항으로 자리매김 했다.

남부권 신공항이 좌초된 당시의 매일신문 1면. 왼쪽은 첫 번째 백지화 결론이 났던 2011년 3월 31일자 매일신문 1면, 오른쪽은 두 번째 백지화 결론이 났던 2016년 6월 22일자 매일신문 1면.
남부권 신공항이 좌초된 당시의 매일신문 1면. 왼쪽은 첫 번째 백지화 결론이 났던 2011년 3월 31일자 매일신문 1면, 오른쪽은 두 번째 백지화 결론이 났던 2016년 6월 22일자 매일신문 1면.

◆남부권 신공항 좌초, 대구공항 이전으로 노선 변경

저비용항공사의 취항으로 대구와 부산 등의 노선과 항공 이용객이 급증하면서 영남권 시민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항 건설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처음 공론화된 시기는 2000년대 중반부터였다. 이명박 정부의 선거공약으로 '동남권 신공항'이 가시화됐고 이에 부산이 내세운 가덕도와 대구·경북·경남·울산이 지지하는 경남 밀양이 후보지로 떠올랐다. 하지만 2011년 3월 양쪽 모두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백지화됐다.

2011년 12월 20일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열린 남부권 신공항 재추진 선언식에서 영남권 신공항 재추진 위원장들이 선언문 서명 후 추진 결의를 다지고 있다. 선언식에는 영남권 300여 개 시민사회단체와 기관이 참가했다. 매일신문 DB
2011년 12월 20일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열린 남부권 신공항 재추진 선언식에서 영남권 신공항 재추진 위원장들이 선언문 서명 후 추진 결의를 다지고 있다. 선언식에는 영남권 300여 개 시민사회단체와 기관이 참가했다. 매일신문 DB

그러나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남부권 신공항 재추진'이란 이름으로 주요 후보들이 신공항 건설에 대한 공약을 내걸었고 논쟁은 또 다시 불붙기 시작한다. 하지만 2016년 김해공항 확장안으로 결론이 나면서 신공항에 대한 영남권 시민들의 열망은 다시 한 번 고배를 마실 수 밖에 없었다.

14일 오후 대구 삼성창조캠퍼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통합신공항 건설 정책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이 통합신공항과 대구경북의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등 주요 의제에 관한 토론을 펼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14일 오후 대구 삼성창조캠퍼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통합신공항 건설 정책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이 통합신공항과 대구경북의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등 주요 의제에 관한 토론을 펼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이에 부산과 대구는 각자 새로운 공항을 건설하기로 마음먹기에 이른다. 대구공항이 군 공항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공항 주변 시민들은 전투기 이륙에 의한 소음에 시달리고 있어 이전이 절실하던 상황이었다. 그래서 군 공항 이전과 함께 대구공항의 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다. 거기에다 부산이 김해공항 확장이 아닌 '가덕도 신공항' 안을 계속 추진하면서 대구경북에서도 "우리만의 통합신공항을 만들자"는 공감대가 형성, 지금의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추진이 급물살을 탄다.

그래픽 디지털국 박소현 기자.
그래픽 디지털국 박소현 기자.

◆후보지 선정까지 지난한 과정 겪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 문제는 2016년 7월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대구공항 이전을 언급하면서 공론화되기 시작한다. 같은 해 8월, 정부는 대구공항을 군공항·민간공항을 통합해 이전하고,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기로 결론을 내리고 후보지 선정에 들어간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단독 후보지인 군위군 우보면 일대의 모습.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단독 후보지인 군위군 우보면 일대의 모습.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공동 후보지인 의성군 비안면 일대의 모습.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공동 후보지인 의성군 비안면 일대의 모습.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2018년 3월 국방부는 대구공항 이전지를 경북 군위군 우보면과 경북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공동지역 2곳으로 확정하고 이전에 관한 첫 발을 뗐다. 당시 계획으로는 2018년에 착공해 2023년 개항하는 것으로 계획을 잡았었다. 하지만 이전사업비 문제로 대구시와 국방부 간의 협의가 난항을 겪으면서 8개월 동안 상황 진전 없이 표류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부지 선정기준과 주민투표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군위군·의성군 시민참여단이 24일 오후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박3일간의 숙의과정을 마치고 건물을 나오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부지 선정기준과 주민투표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군위군·의성군 시민참여단이 24일 오후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2박3일간의 숙의과정을 마치고 건물을 나오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뿐만 아니라 주민투표 방식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도 많은 논쟁이 있었고, 결국 지난해 11월 20일 군위·의성군민 각 100명으로 구성한 시민참여단이 22~24일 대전에서 2박 3일간 합숙을 통해 통합신공항 주민투표 방식과 선정기준을 확정하는 공론화 방식을 채택한다. 시민참여단은 통합신공항 주민투표 방식과 이전지 선정기준을 대구시가 제안했던 '후보지별 3곳의 각각 찬성율과 군민 투표 참여율'로 정하도록 최종 의견을 모았다.

◆군위와 의성, 치열한 경쟁

내년 1월 21일로 잠정 합의된 통합신공항 후보지 선정 투표일이 50일 남짓으로 다가온 가운데 군위와 의성의 투표 홍보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3일 군위군청 앞 도로에서 열린 통합신공항 우보 쟁취를 위한 대군민 결의대회에서 한 참가자가 삭발을 하고 있다(왼쪽). 3일 의성군 북원사거리 건물 외벽에 찬성율 100%를 염원하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내년 1월 21일로 잠정 합의된 통합신공항 후보지 선정 투표일이 50일 남짓으로 다가온 가운데 군위와 의성의 투표 홍보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3일 군위군청 앞 도로에서 열린 통합신공항 우보 쟁취를 위한 대군민 결의대회에서 한 참가자가 삭발을 하고 있다(왼쪽). 3일 의성군 북원사거리 건물 외벽에 찬성율 100%를 염원하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통합신공항 후보지인 경북 군위군 우보면과 경북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공동지역을 두고 군위군과 의성군은 신공항 유치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전지 선정기준이 정해진 뒤 두 지역 주민들은 주민 투표에서 이기기 위해 각종 홍보활동을 펼쳐왔다. 최근에는 통합신공항의성군유치위원회가 김영만 군위군수를 주민투표법상 허위사실 유포죄·투표자 매수죄 등으로 대구지방검찰청 의성지청에 고발하기도 했고, 의성군선관위가 20일 거소투표 신고사유에 해당하지 않거나 본인 의사를 확인하지 않은 채 주민 12명의 거소투표 신고서를 허위로 작성·신고한 혐의로 의성군 이장 A씨와 B씨를 대구지검 의성지청에 고발하는 등 고소와 고발이 난무하는 혼탁한 양상도 벌어졌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을 위한 사전투표가 실시된 16일 오전 경북 군위군 군위읍사무소에 주민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줄지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을 위한 사전투표가 실시된 16일 오전 경북 군위군 군위읍사무소에 주민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줄지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21일 본투표가 시행되기 전 16, 17일에는 사전투표가 시행됐다. 사전투표 투표율은 군위군 52.06%, 의성군 64.96%를 기록, 의성군이 앞섰다. 투표 결과 3개 지역별(우보·소보·비안)로 주민투표 투표율(50%)과 찬성률(50%)을 합산해 군위 우보가 높으면 단독후보지가, 군위 소보 또는 의성 비안이 높으면 공동후보지가 이전부지로 선정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