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장] 대충 살자

하응백 문학평론가

하응백 문학평론가
하응백 문학평론가

1960년대 이후 우리는 '하면 된다'는 신화에 사로잡혀 살았다. 식민지 시대의 패배 의식과 전쟁의 상처와 절대 빈곤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신 무장이 필요했었기 때문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앞장서서 국민정신 개조에 나섰고, 정주영 같은 기업인은 맨땅에 조선소를 건설하는 등의 추진력을 보임으로써 '하면 된다'가 거짓이 아님을 보여주려 했다. 그런 '하면 된다'의 정신은 사회적 화두로 등장해, 군대·기업·학교·가정 등 사회의 전 분야에 침투해 주류 이데올로기로 형성되었다. 군대에서는 '까라면 깐다'라는 이른바 'KK정신'으로 미화되기조차 했다.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 2002 한일월드컵에서 놀랄 만한 성적을 올리면서 '하면 된다'는 정신은 한국인들에게 더욱 내재화된 것으로 보인다. 86아시안게임에서 가냘픈 소녀 임춘애는 중거리 육상 800m, 1500m, 3000m 세 종목을 석권하면서 '하면 된다' 정신의 표본이 되기도 했다. 이 소녀는 당시 '라면 먹으면서 운동' 했다고 해서 전국적인 화제가 되었다. 라면을 먹고도 세 종목을 석권한 것은 '하면 된다'는 불굴의 정신이 밑바탕에 자리 잡고 있어 가능했다는 믿음이, 온 국민에게 종교처럼 퍼져 있던 시절이었다. 임춘애가 "코치 사모님이 간식으로 라면을 끓여 주셨다"가 한 언론사에 의해 "라면 먹으면서 운동했어요. 우유 마시는 친구가 부러웠고요"로 둔갑한 것은, '하면 된다'는 신화에 온 국민이 얼마나 몰두하고 있었나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는 해도 안 되는 것이 얼마나 많은가. 레슬링 선수가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발레리노가 되기 어려운 것처럼, 애초에 안 되는 일은 우리 주변에 널려 있다. 한 개인으로 보자면 안 되는 일은 수없이 많다. 몸치인 사람은 총검술과 태권도, 무용이나 사교춤에는 젬병이다. 음치인 사람은 일류 성악가가 될 수 없다.

'갓바위'에서 부모가 아무리 열심히 절을 해도, 그들의 모든 고교 3학년 자녀가 일류 대학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도 자명한 이치다. 모두 부자가, 모두 성공한 기업인이, 모두 훌륭한 시인이 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면 된다'는 수십 년 동안 주류 이데올로기가 되어, 해도 안 되는 일이 많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엄청난 억압을 형성했다. 해도 안 되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자식에게 혹은 사회 후배들에게 '하면 된다'의 신화를 강요했다. 해보지도 않고 안 된다고 말하지 말라며, 그들을 윽박질렀다. 하지만 이제 젊은 세대들은 '하면 된다'가 거짓임을 깨닫고 있다. 우리 자신이 이미 알고 있으면서 모르는 척하려 했던 그 사실을, 기성세대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젊은 세대들은 보다 본격적으로 간파하기 시작했다.

최근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의 제목이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이다. 나이 40세인 저자는 "열심히 살수록 예상과 다른 결과에 상처를 받았다"고 고백하고 있다. 대충, 설렁설렁 살 수도 있고, 그렇게 살겠다고 마음을 먹으니 오히려 편안해졌다고 말한다.

절대 빈곤의 시대는 지나갔다. 이제 '하면 된다'의 신화에서 벗어나, 해도 안 될 수도 있으니 대충 살자, 또 그렇게 살아도 된다고 말하면서 살자. 좀 편하게 살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