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코로나 사태가 일깨운 경북의 현실, 상급종합병원 만들라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상급종합병원이 한 곳도 없는 경북도가 많은 중증환자 사망 피해를 내는 등 구조적인 허점을 노출했다. 1천 명이 넘는 확진자에다 적지 않은 중증 환자가 생명에 위협을 받는데도 전담 치료기관이 없어 피해를 키운 것이다. 만약 도내 가까운 곳에 상급종합병원이 운영되고 신속히 중증 환자를 옮겨 집중 치료를 했다면 결과는 분명 달라졌을 것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코로나19 경북 확진자의 치명률은 3.36%로 전국 평균치의 2배다. 특히 청도 대남병원과 봉화 푸른요양원, 경산 서요양병원 등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했지만 코호트 격리로 인해 제때 전문 치료를 받지 못하면서 고령의 기저질환자 다수가 사망했다. 뒤늦게 각지의 상급병원으로 환자를 분산해 치료했지만 피해는 피해대로 커지고 감염병 대응에도 큰 차질을 빚은 것이다.

정부가 2012년 처음 도입한 상급종합병원 제도는 중증 질환의 전문적인 치료가 목적이다. 20개 이상의 진료 과목과 전문의·수련의 인력 확보, 시설·장비 등을 평가해 3년마다 재지정하는데 현재 전국 10개 권역에 모두 42개 병원이 있다. 대구의 경우 2018년 3기 상급종합병원에 신규 지정된 대구 칠곡경북대병원 등 모두 5곳에 이른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에는 같은 경북권역에 묶인 대구와 경북의 지리적 여건에다 경북도의 취약한 의료 기반 등이 배경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 상급종합병원의 부재는 이번 사태가 보여주듯 그 파장이 크다. 뒤늦게 경북도가 동국대 경주병원의 상급종합병원 지정과 정부에 필요 예산 지원을 요청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특히 내년에 출범할 4기 상급종합병원 지정 절차가 연내 마무리된다. 각 병원 간 치열한 경쟁 등 사정이 만만찮지만 언제 또 발생할지 모르는 감염병 중증 환자 치료의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서는 정부가 상급종합병원 확대에 적극 나서고 지방정부 또한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인프라 확보를 서둘러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