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한항공의 대구공항 화물 사업 중단, 피해 대책 마련 후라야

대구국제공항의 명암이 뚜렷이 갈리고 있다. 대구공항 이용객은 올 상반기만 해도 사상 최대인 247만 명을 돌파하고 연말 500만 명 달성도 넘보게 됐다. 반면 국내선 화물 분야만큼은 반대다. 취급량이 갈수록 줄어 이를 맡은 대한항공이 아예 10월부터 사업 철수를 예고했다. 사업 중단 시 대구~제주 간 화물 수송이 어렵게 돼 신선 수산물 등의 취급 업체를 비롯, 연쇄 피해가 불가피하다. 당국의 대책 마련은 발등의 불이 됐다.

그러나 대구시는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손을 쓰지도 못했다. 최근에야 항공사를 찾아 뒤늦게 설득에 나서는 등 허둥대고 있지만 늦은 감이 없지 않다. 물론 국내 운송 화물의 대체 수송 수단 다양화 등에 따른 물량 감소와 영업 적자 누적 등 경영 악화의 악순환으로 항공사의 사업 중단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을 터다. 그렇더라도 대구시로서는 늑장 대처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런 만큼 대책 마련도 시급하게 됐다.

이제 남은 과제는 지역 업체나 관련 업소 피해를 줄일 길을 찾는 일이다. 해법을 찾지 못하면 대한항공의 화물사업 철수로, 지금까지 대한항공이 맡았던 대구공항의 아시아나 항공 이용객 화물 수송조차 중단될 처지다. 이는 곧바로 대구공항 이용객의 불편과 피해로 이어져 결국 대구공항 활성화에 악영향을 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 자명하다. 그동안 대구공항의 활성화를 위해 애쓴 노력이 자칫 헛되이 되지나 않을까 걱정스럽다.

대구시는 쉽지 않겠지만 먼저 대한항공의 기존 화물 분야 사업 폐쇄 기한의 최대한 연장을 위해 협상력을 발휘하는 한편, 대체 수송 수단 발굴에 힘을 쏟아야 한다. 현재 대구~제주 간 하루 평균 5~10t에 이르는 화물에 생존을 건 이해 당사자가 여럿이고, 그 물량도 결코 적지 않다. 그런 만큼, 대구시는 항공 이용 업체와 피해를 줄일 방법을 찾는데 머리를 맞대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늑장 대처를 만회할 대구시의 기민한 행정이 절실한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